시간 복잡도란? 특정 알고리즘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 빅-오 표기법 시간 복잡도에는 여러 개념이 있지만 그중에서 '아무리 많이 걸려도 이 시간 안에는 끝날 것'의 개념이 제일 중요하다. 이 중에서 최악의 경우를 계산하는 방식을 빅-오(Big-O) 표기법이라고 부르며 이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. O(1) (Constant)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언제나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 알고리즘 예) Array O(log₂ n) (Logarithmic) 입력 데이터의 크기가 커질수록 처리 시간이 로그(log: 지수 함수의 역함수) 만큼 짧아지는 알고리즘 예) 이진 탐색, 재귀가 순기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O(n) (Linear)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해 처리 시간이 증가하는 알고리즘 예) ..